“You'll be the first to know”
*<오늘의 Survival English>
*“장군, 소식을 접하는대로 가장 먼저 말씀드리겠습니다”
운전하며 라디오 뉴스 채널을 듣노라면
"Be the first to know"라는 자체광고를 듣게 됩니다.
이는 가장 빠른 뉴스를 들으려면 그 채널에 고정시켜놓으라는 말이죠.
1,"You'll be the first to know"는
(소식을)가장 먼저 알려주겠다는 말입니다.
"As soon as I get the news, you'll be the first to know"
(내가 뉴스를 듣자마자 당신에게 가장 먼저 알려줄께요)
(=I will let you know first)
2,”When we figure it out, you'll be the first to know"
(우리가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생각해보고 가장 먼저 당신께 알려드릴께요)
(figure out = 계산, 생각해내다, 이해하다)
3,We'll figure something out”
(우리가 어떻게든 해결책을 마련해 볼께요)
-이때 figure는 숫자/ 수치를 의미
4,”Give me a ballpark figure. How much?”
(얼마예요? 대략적인 숫자라도 알려주세요)
(Ballpark figure = 어림잡은 숫자 (야구장에 있는 사람들 숫자를 대충 세본것)
5,"You should behave yourself.
You are a public figure"
(당신은 점잖게 처신해야 합니다.
당신은 공인(公人)이잖아요)
6,(무슨 결정을 못내리고 오락가락할때)
"I have been going back and forth about what to do"
(저는 어떻게 할지 결정을 못내리고 갈팡질팡하고 있습니다)
7,"I go back and forth about believing in God"
(저는 하느님에 대한 믿음이 약해 오락가락하고 있어요)
8,"We can't keep going back and forth. We're running out of time”
(우리는 이랬다 저랬다 오락가락할 시간이 없어요)
9,(의견을 주고 받을때도)
"Hopefully we will have a great back-and-forth here"
(이 자리에서 좋은 의견들을 많이 주고 받으면 좋겠습니다)
10,"Let's not go back and forth any more,
and get to the point here"
(우리 더 이상 왔다갔다 하지 말고 결론으로 들어갑시다)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Your wish is my command”
*<오늘의 Survival English>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해드리겠습니다”
연말이 다가오면서 한해동안의 회한도 많을 겁니다.
하지만 부정적인 일들은 가능한 빨리 잊어버리는 것이 정신건강상 좋겠지요.
오늘도 어제에 이어 실생활에 필요한 Idiom(관용구, 숙어)을 알아봅니다.
1,(다 지나간 일)
"It's water under the bridge"
(이미 지난 일이니 잊어버려요)
2,"I am sorry if I upset you"
(당신을 속상하게 했다면 미안해요)
"Water under the bridge"
(이미 지난일인걸요)
3,(bridge와 연관된 표현)
"We will cross that bridge when we come to it"
(미리 걱정하지 말고 그때 가서 생각해요)
4,(극단적 행동을 경계할때)
"Don't burn any bridges"
(다리를 불태우지 말라. 즉, 돌이킬 수없는 행동을 하지 말라는 경구)
이는 특히 인간관계에서 누구와 인연을
완전히 단절하지 말라는 뜻으로 많이 쓰입니다.
5,"Do not burn bridges.
The world is such a small place.
You will see those people again"
(극단적인 행동은 절대 하지 말아요.
세상은 좁아서 그 사람들을 어디선가 또 만나게 됩니다)
6,"Don't fall for that.
It's too good to be true"
(그 말에 속지 말아요.
사실이라고 믿을 수 없어요)
"Don't worry. I wasn't born yesterday"
(걱정마세요. 제가 뭐 한두살 먹은 것도 아니고)
7,(기꺼이 부탁을 들어줄때)
"Your wish is my command"
(당신이 원하는건 무엇이든 할테니 말씀만 하세요)
8,"Finish the paperwork as soon as possible"
(서류작업을 최대한 빨리 마무리해줘요)
"Your wish is my command"
(분부대로 하겠습니다)
9,(새로운 일을 앞두고 겁이 날때)
"It's a big change. It's perfectly normal to have/get cold feet"
(새로운 변화를 앞두고 겁을 먹는 지극히 당연하죠)
(have (또는 get) cold fee= 겁먹다, 초조해하다)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Just wing it”
*<오늘의 Survival English>
*준비없이 즉흥적으로 하지 말아야”
시시각각 격변하고 있는 고국사태가 어서 빨리 진정되길 소망합니다.
해외에 살고 있는 우리 이민자들은 그저 안타까운 마음으로 지켜볼 수밖에 없군요.
오늘은 실생활에 유용한 숙어(idiom) 몇가지를 소개합니다.
1,(사전준비 없이 즉흥적으로 해보다)
"Just wing it"
(그냥 한번 해봐요)
2,"I am just gonna wing it"
(준비는 못했지만 그냥 한번 시도해보겠습니다)
3,(부정적으로)
"Don't try to wing it"
(철저한 준비없이 대충 하려고 하면 안돼요)
4,"You need to be prepared thoroughly.
Trying to wing it is not going to work"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해요.
대충 하려고 하면 먹혀들지 않을거예요)
5,"I am a late bloomer"
(저는 늦깎이예요)
"Better late than never"
(늦더라도 아예 안하는것보다는 낫죠)
6,"Sorry I'm late"
(늦어서 미안해요)
"Better late than never"
(늦게라도 왔으니 됐죠)
7,(비슷한 표현)
"Better safe than sorry"
(나중에 후회하는 것보다 조심하는 것이 낫다)
8,"Put on a mask. You never know. Better safe than sorry"
(혹시 모르니 마스크를 쓰세요. 나중에 후회하지 말고)
9,”You can never be too careful these days”
(요즘은 정말 조심해야 해요)
10,"Better safe than sorry,
but better moving than not"
(안전한 것도 좋지만
가만히 있는 것보다는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 더 좋겠지요)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Going through a lot
*<오늘의 Survival English>
*“지금 힘든 일을 겪고 있는 사람이 누구인지 아세요? 사실은 누구나 그래요. 그러니 친절하게 대합시다”
가장 기초적인 영어단어 go.
이 단순한 단어에 다양한 전치사((Preposition)가 붙어 일상에서 흔히 사용됩니다.
영어가 이래서 어렵다는 거죠. ㅠ
오늘은 go의 중요한 몇가지 사례들...
1,(힘든 일을 겪을 때)
"I am going through a lot now"
(저는 지금 어려운 일을 겪고 있어요)
2,"Let's cut her some slack. She's going through a lot right now"
(그녀 좀 이해하고 봐줍시다. 지금 힘든 일을 겪고 있거든요)
3,"We are going through a rough patch"
(우리는 지금 힘든 시기를 겪고 있습니다)
4,(누군가가 나에게 호의를 베풀었을 때)
"You didn't have to go through all this trouble"
(번거롭게 이러지 않으셔도 됐는데)
(= You shouldn't have)
"No trouble at all"
(천만에요. 전혀 괜찮아요)
5,(꼼꼼히 살펴볼때)
"There's a lot to go over,
but I'll explain everything as we go through"
(우리가 검토할 일이 많지만
하나하나 꼼꼼히 따져보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go over: 일을 처리, 점검하다)
6,"I went through all the files"
(파일을 하나하나 다 살펴보았어요)
7,(물건을 뒤적질 때도)
"Don't go through my stuff”
“Stop going through my stuff”
(내 물건 뒤지지 마요!)
8,(일이 성사, 통과될 때도)
"The deal didn't go through"
(딜이 성사가 안됐어요)
9,"The payment didn't go through"
(요금 결제가 안됐어요)
10,"The papers finally went through"
(마침내 서류가 통과됐습니다)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You are top-notch!”
*<오늘의 Survival English>
*최고의 햄버거
저는 골프를 자주 안 치지만(1년에 5~6회)
드라이버샷(driver shot)은 꽤 나가는 편입니다.
언젠가 캐네디언 친구와 라운딩을 하는데 저의 티샷을 보고
"Top-notch!"를 연발하는 것이었습니다.
Notch(나취)는 급수나 등급을 뜻합니다.
그러니 top-notch라 하면 '최고'란 뜻이지요.
1,"You are a top-notch golfer"
(=best, excellent)
(당신은 정말 최고의 골퍼입니다)
2,"He is a top-notch technician"
(그는 일류 기술자입니다)
3,"I have to say, that's a top-notch idea"
(그건 정말 뛰어난 아이디어라고 생각합니다)
4,"Terrific idea, Liam, really. Top-notch"
(리암, 아주 훌륭한 생각입니다. 정말 최고예요)
5,"He is running a top-notch business"
(그는 비즈니스를 뛰어나게 잘하고 있습니다)
6,(notch의 응용표현들)
"Let's take it down a notch"
(상대가 다소 흥분돼있을때, ‘좀 진정합시다'란 뜻)
7"Can we just take it down a notch, please?"
(=calm down)
(우리 흥분 좀 가라앉히고 진정합시다)
8,(감정이 격해졌을때)
"We might wanna take it down a notch and keep things civil"
(우리 진정하고 서로 예의를 갖춥시다)
9,(한단계 끌어올릴땐 up을 써서)
"Let's take it up a notch"
(우리 열심히 해서 한단계 더 올라갑시다)
10,"Now, we can take it up a notch"
(자, 이제 (게임을) 좀더 흥미롭게 해봅시다)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You are what you eat
*<오늘의 Survival English>
*먹은 음식에 따라 체형도 달라집니다
우리가 먹는 음식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겁니다.
영어에도 "You are what you eat"이라는 속담이 있죠.
'당신이 먹는 것이 곧 당신이다'?.
이는 그만큼 먹는 음식이 중요함을 강조하는 말입니다.
(=If you eat well, you will be well; however if you eat badly, you will feel bad)
오늘은 연말 회식자리에서 쓸 수 있는 맛의 다양한 영어표현들입니다.
1,(맛있다고 할때 가장 흔한 표현)
"How is your coffee?" (커피맛이 어때요?)
"It's (really) good" (아주 맛있네요)
2,(정말로 맛있다고 다소 과장할때)
"This is so delicious. You are such a great cook"
(이거 정말 맛있네요. 당신은 요리를 참 잘하십니다)
3,"Everything looks delicious!"
(와, 다 맛있어 보이는데요)
*이처럼 delicious는 아주 맛있다고 다소 과장할때 쓰고
보통은 "It's good"(맛있네요) 하면 됩니다.
4,(주로 어린아이들이 쓰는 말)
"Yummy(야미)" (되게 맛있다)
5,(조금 품위있게 맛있다고 표현할때)
delectable(딜렉터블), exquisite(익스퀴짓),
divine(디바인): 원래 '신성한'의 뜻이지만 아주 멋진 음식을 표현하는 구어체.
6,"It's full of flavor"
(맛과 향기로운 풍미가 가득한데요)
7,light(깔끔하고 담백한 음식),
반대는 heavy, oily(오일리), greasy(그리시):기름기가 많아 느끼한...
8,bland: 싱거운, 자극적이지 않은, juicy(쥬시): (과일이나 고기의) 육즙이 가득한
crispy: 바삭바삭한, soggy: 눅눅한, stale: 오래 돼서 신선하지 않은…
(맛에 대한 다양한 표현은 다음에 다시)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He was born with a silver spoon…
*<오늘의 Survival English>
*금수저를 물고 태어난…
우리는 보통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난 사람을 '금수저'라고 부르죠.
그렇다면 영어로도 gold spoon을 쓸까요?
이런땐 우리말과 달리 silver spoon을 씁니다.
오늘은 출신 집안 얘기좀 하겠습니다.
1,(금수저 출신을 가리킬 때)
"She was born with a silver spoon in her mouth"
(그 여자는 은(금)수저를 물고 태어났어요)
-예전엔 gold 보다 silver가 더 귀하게 여겨졌다는 설에서 이런 말이 나왔다고...
2,He was born with a silver spoon in his mouth
and everything has been done for him"
(그는 부유한 집에서 태어나 모든게 그를 위해 만들어졌답니다. ㅠ)
3,(출신 집안이 좋을 때)
"She comes from a good family"
(그녀는 좋은 가정환경에서 자랐어요)
4,(큰부자는 아니더라도 그런대로 잘 살 때)
"I am not making a fortune, but I'm making a decent living"
(저는 큰돈은 못벌지만 그래도 괜찮게 삽니다)
-decent(디슨트): 어느정도 괜찮은, 품위있는
5,('타고난'의 born)
"He is a born teacher"
(그는 타고난 교사입니다...교사체질입니다)
6,"Yor are a born storyteller"
(당신은 타고난 이야기꾼이예요)
7,"Where are you from?"
(당신은 어느지역 출신이세요?)
"I was born and raised in Daejon"
(저는 대전에서 태어나 거기서 자랐습니다)
8,"Are you ready to go?"
(갈 준비됐나요?)
"Of course. I was born ready"
(그럼요, 완전히 준비됐죠)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Give it a shot!”
*<오늘의 Survival English>
*“한번 해봅시다. 잘 되도록 해보자구요”
Shot(샷)은 (총기 등의)발사를 뜻하죠(동사는 shoot).
그런데 이 shot이 일상에서 여러 의미로 사용됩니다.
1,(흔히 쓰이는 말)
"Give it a shot"
(한번 해보세요)
2,"Let's give it another shot"
(다시 한번 시도해봅시다)
3,"What do you say we give it a shot?"
(우리 한번 시도해 보는게 어떨까요?)
4,(승산, 가능성)
"Do you think I have a shot to do this?"
(내가 이 일을 해낼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해요?)
5,"I think we have a shot"
(우린 승산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6,"I think we have a shot with this deal"
(이번에 거래가 잘 될것 같습니다)
7,"You don't think you have a shot this time"
(이번엔 승산이 없을것 같다고 생각하는거죠?)
"Oh, I do have a shot"
(아뇨, 전 충분히 승산이 있어요)
8,"Let's give it a shot, but only if you are sure you're up for it"
(당신이 정말 적극적으로 해볼 준비가 됐다면 한번 시도해봅시다)
9,(승산이 별로 없는)
"It's a long shot"
(그건 성공할 가능성이 거의 없어요)
10,"It's a long shot, but it's worth a try"
(승산은 별로 없지만 한번 시도해볼만한 가치가 있어요)
11,"There is one more option, but it's a long shot"
(한가지 선택사항이 더 있긴 하지만 승산은 별로 없어요)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Who is your bias?”
*<오늘의 Survival English>
* “BTS 멤버중에서 누구를 가장 좋아하나요?”
연말이라 모임이 잦은 요즘, 영어를 쓸 기회가 있을 경우
상대와 가볍게 나눌수 있는 small talk 표현들...
1,(취미나 관심사에 대해)
"What are you into?"
(당신은 무슨 일을 하는걸 좋아하나요?)
2,"What are you into these days?"
(요즘 어떤일 하길 좋아해요?)
"Well, I am into movies"
(네, 영화보길 좋아해요)
3,"What kind of movies do you like?"
(어떤 류의 영화를 좋아하는데요?)
"Have you seen Home Alone?"
('나홀로 집에' 본적 있나요?)
4,"What kind of music are you into?"
(어떤 음악을 좋아하세요?)
"I like all kinds of music"
(저는 모든 종류의 음악을 좋아합니다)
5,"Are you into any sports?"
(스포츠 좋아하는거 있나요?)
"Well, I was into soccer when I was a boy"
(저는 소년시절에 축구를 좋아했지요)
6,(follow를 써서)
"Do you follow any sports?"
(계속해서 지켜보는 스포츠가 있나요?)
7,"Do you have a favorite team?"
(좋아하는 팀이 있나요?)
8,"Which team do you root for?"
"Who do you root for these days?"
(요즘 어떤 팀 (누구)을 응원하나요?)
9,(상대가 K-Ppo을 좋아한다고 하면)
"Who is your bias(바이어스)?"
(가장 좋아하는 멤버가 누군데요?)
(bias=편향, 성향, 속어로 '최애')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In an orderly fashion’
*<오늘의 Survival English>
*“질서를 지켜 나가주세요”
Fashion이라 하면 문자 그대로 패션, 즉 유행이나 멋,
스타일 등을 뜻하죠. Fashionista(옷을 잘 입는 사람) 등...
그런데 외모를 의미하는 이 말에 '방식' ‘방법’이란
뜻이 있다는 사실도 알아두어야겠습니다.
1,(in a timely fashion: 시기적절하게, 적절한 시간 내에)
"It needs to be done in a timely fashion"
(그것은 적절한 시간 내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때 fashion=manner (방법, 방식)
2,"It needs to be done in a timely manner”
(그것은 시기적절하게 완료돼야 합니다)
3,"I can't believe I failed"
(내가 실패했다니 믿을수 없어요)
"Well, you didn't turn it in a timely fashion"
(그것을 제때 제출하지 않았잖아요)
4,"He never emails me back in a timely fashion (manner)"
(그는 한번도 제때 답신 이메일을 보내지 않아요)
5,(구식의, 고리타분한)
"He is very old-fashioned"
(그는 아주 고리타분해요. 보수적이예요)
6,"Why don't you see him and ask for help in person?
I's a bit old-fashioned, but it works well"
(그를 직접 만나서 도와달라고 해봐요.
조금 옛날 방식이긴 하지만 효과가 있긴 해요)
7,"Well, it may sound old-fashioned, but I think that works"
(고리타분한 얘기같지만 그게 잘 먹힐겁니다)
8,(in an orderly fashion: 순서/차례대로, 질서정연하게)
" We'll do it in an orderly fashion"
(우리는 그것을 질서정연하게 시행할겁니다)
9,"Please line up in an orderly fashion"
(질서정연하게 줄을 서주세요)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Not really”
*<오늘의 Survival English>
*“저는 사실 컨디션이 별로에요”
누구와 대화를 나눌 때 흔히 "정말?" 이라는 말을 많이 하지요.
영어로는 "Really?" "Are you sure?" "Are you serious?" 또는 그냥 "Seriously?"라고 하는데,
오늘은 really의 다양한 활용법을 알아봅니다.
1,(부드럽게 부정할때)
"Not really"
(꼭 그렇지도 않아요)
2,"Do you like pizza?"
(핏자 좋아해요?)
"No, not really" (아니요, 별로요)
3,"Was it a productive meeting yesterday?"
(어제 생산적인 회의였나요?)
"No, not really"
(아니요, 별로요)
4,"Do you work out regularly?"
(평소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시나요?)
"Not really"
(딱히 그렇지도 않아요)
5,(really는 쓰이는 위치에 따라 뜻이 확 달라짐)
"This is not really your fault"
(이건 꼭 당신의 잘못만은 아닙니다)
6,(강조할 때)
"This is really not my fault"
(이건 진짜로 제 잘못이 아닙니다)
7,"Do you really not get why?"
(정말로 왜그런지 이해가 안되나요?)
8,"Would you like another wine?"
"I am good. I am not really a big drinker"
(저는 괜찮아요. 저는 사실 술을 잘 못마셔요)
9,"I am not really a big fan of heavy food"
(저는 과식은 별로 안좋아합니다)
10,"This isn't really my area of expertise"
(이건 사실 제 전문분야가 아니라서요)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I have what it takes”
*<오늘의 Survival English>
*나에겐 그럴만한 능력이 있습니다”
어제 다룬 'whatever it takes'(무슨 수를 써서라도)에서
ever를 뺀 'what it takes'는 뜻이 전혀 다릅니다.
즉 '무엇을 해낼 능력'을 의미합니다.
1,"I can do this. I have what it takes"
(나는 이것을 할 수 있어요. 그것을 해낼 능력이 있다구요)
2,"Do you think you have what it takes?"
(당신은 그걸 해낼 자질이 있다고 생각해요?)
"I do, and I'm willing to do whatever it takes to win the game"
(그럼요. 그리고 나는 이 게임에서 무슨 수를 써서라도 이길겁니다)
3,"Good luck with your new career.
I really think you have what it takes"
(새 직장에서 행운을 빌어요)
저는 당신이 그일을 충분히 해낼 능력을 갖추었다고 생각해요)
4,"Between us, he doesn't have what it takes to do the job"
(우리끼리 말인데, 그 사람은 그 일을 해낼 능력이 안돼요)
(Between us = off the record)
5,"Actually I can't do it. I don't have what it takes"
(사실 저는 그걸 할 수가 없어요. 그럴만한 능력이 안돼요)
6,"He is a strong salesman,
but he doesn't have what it takes to be a manager"
(그는 세일즈에선 탁월하지만 매니저가 될만한 자질은 없어요)
7."He is just not leadership material(머티(어)리얼)"
(그는 지도자감은 아닙니다)
8,(take가 들어간 유용한 표현들)
"I don't wanna take up any more of your time"
(이제 더 이상 시간을 뺏지 않겠습니다)
9,"What's your take on it?"
(당신 생각(의견)은 어때요?)
10,“I’ll take it from here”
(여기서부터는 제가 처리할께요)
*take의 여러 표현들은 다음에 좀 더 다루겠습니다.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Do whatever it takes
*<오늘의 Survival English>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기꺼이 뛰어들 용의가 있습니까?
인간관계에서 가장 듣기 좋은 말 중 하나는
"당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가 아닐까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표현들입니다.
1,(가장 쉬운 말로)
"I will do my best for you" 외에
“I will do everything in my power to help you"
(당신을 돕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겠습니다)
2,"Don't worry. I am gonna do everything in my power"
(걱정말아요. 내가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동원해서 하겠습니다)
3,"I've done everything in my power to talk him into it"
(그가 그 일을 하도록 설득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습니다)
4,(whatever it takes를 써서)
"I am willing to do whatever it takes"
(저는 무슨 수를 써서라도 기꺼이 할 용의가 있습니다)
5,"I understand that you're upset and
we'll do whatever it takes to make it right"
(저는 당신이 속상해 하는걸 이해하니
저희가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바로잡도록 하겠습니다)
6,"Do whatever it takes to achieve the goal"
(어떤 수를 써서라도 목표를 달성하도록 해요)
7,"I'm prepared to do whatever it takes to get this job"
(저는 이 일을 얻기 위해 어떤 어떤 방법이라도 동원할 준비가 돼있습니다)
8,"Whatever it takes. Everything in my power"
(무슨 수를 써서라도. 내가 행사할 수 있는
모든 권력을 동원해서... 결연한 의지의 표현)
9,(위와 같은 말에 대해)
"Like what? I mean, specifically.
What is your next move?"
(예를 들면? 다시 말해 구체적으로 다음은 어떻게 할건데요?)
*Whatever it takes에서 ~ever를 빼면 뜻이 전혀 달라집니다.
이건 내일 다루겠습니다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I appreciate you”
*<오늘의 Survival English>
* “당신은 소중한 존재입니다. 진정으로 감사합니다”
일상에서 흔히 쓰는 appreciate(어프뤼쉬에잇).
발음하기가 좀 어렵지만 꼭 알아야 할 단어입니다.
보통 "Thank you. I appreciate it"
(정말로 감사합니다) 라는 관용구로 쓰이지요.
그런데 이 말의 원래 뜻은 '~의 진가를 알아보다,
인정하다'(recognize the full worth of)입니다.
1,"I really appreciate you"
(나는 당신의 진정한 가치를 압니다...최상의 칭찬)
2,(누군가가 능력은 있는데 빛을 보지 못하고 있을때)
"They just don't appreciate you"
(그들은 당신의 진가를 모르고 있어요)
3,(누가 소중한 예술품의 가치를 잘 모를때)
"He doesn't appreciate the artwork"
(그는 예술품의 진가를 잘 몰라요)
4,"I guess some people don't appreciate really good food"
(어떤 사람들은 좋은 음식의 진가를 모르는 것 같아요)
5,(고맙다고 할때)
"I appreciate it" (정말 고맙습니다)
"Of course" (뭘요. 당연히 해드려야죠)
6,"I really appreciate your recognizing my effort"
(당신께서 저의 노력을 인정해주시니 감사합니다)
7,"I’d appreciate your input on this"
(이것에 대해 조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8,"I don’t appreciate being treated like this"
(나는 이런 취급 받는거 반갑지 않아요)
9,(인정하다의 다른 단어)
"He highly recognized your ability as a journalist"
(그가 당신의 언론인으로서의 능력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Can I have a menu?”
*<오늘의 Survival English>
*“메뉴판 좀 주시겠어요?”
연말이 다가오면서 회식 모임도 많아지는 때입니다.
그런데 한국인들은 서양식 레스토랑에서 음식 주문하는데 애를 먹지요.
오늘은 현지 레스토랑에 갔을 때 쓸 수 있는 표현들을 알아봅니다.
1,우리는 보통 메뉴(Menu)라고 하면 음식의 종류로 알기 쉬운데
메뉴는 정확히 '메뉴판'을 뜻합니다.
1,"Can we get a menu, please?"
(메뉴판 좀 주시겠어요?)
2,따라서 어떤 음식을 추천해달라고 할땐
"I am not sure what to order. What do you recommend (from the menu)?"
(무슨 음식을 시켜야 할지 몰라서 그러는데, 추천해주실 음식이 어떤건가요?)
3,(그냥 간단히)
"What do you recommend?"
(어떤 음식이 좋을까요?)
4,"What do you recommend besides steak?
Anything lighter?"
(스테이크 말고 좀더 가볍게 먹을수 있는게 뭘까요?)
5,"I'm having a hard time deciding between steak and salmon.
Which one would you recommend?"
(스테이크를 먹을지, 연어를 먹을지 결정을 못하겠는데
어떤걸 추천하시겠어요?)
(*salmon을 '쌀몬'이라고 하는 분이 많은데 '쌔애믄'이 옳습니다)
6,"How big is the portion?"
(음식의 양이 얼마나 되나요?)
7,"Do you think it will be enough for three people?"
(세명이 먹을만큼 충분한가요?)
8,(남은 음식을 싸갈때)
"Can I have a to-go box?"
(남은 음식은 leftover 레프트오버)
9,(그냥 옆사람과 같은 것으로 주문할 땐)
"I want the same one as him"
(저분과 같은 것으로 주세요)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She checks all the boxes”
*<오늘의 Survival English>
우리에게 아주 익숙한 단어이면서도
쉽게 쓸 수 없는 말이 많습니다.
오늘도 어제에 이어 check와 관련된 예문들입니다.
1,일상에서 흔히 쓰는 수표도 check(=cheque),
"찬성!" 일때도 간단히 "Check!",
호텔 숙박 수속도 'check in',
어렵게 벌어먹고 살때도 'live paycheck to paycheck',
무엇을 확인해볼 때도 'check it up' 등 엄청 다양합니다.
2,(모든 필요조건을 충족시킬때)
"It checks all our boxes"
(이건 우리에게 필요한 모든 요건을 충족시킵니다)
3,"This car is perfect for me. It checks all the boxes"
(이 차는 저에게 딱 맞아요. 모든 요건을 만족시켜요)
4,"It checks all the boxes from size to colour to price"
(이건 크기, 색상, 가격 등 모든 조건을 다 충족시킵니다)
5,"I found the place that checks all the boxes"
(우리에게 딱 맞는 장소를 찾아냈습니다)
6,"I like her. She checks all the boxes"
(저는 그녀가 마음에 들어요. 내가 원하는 모든 요건을 갖추었거든요)
7,"It's not easy to find someone who checks all your boxes”
(= “No one is perfect")
(당신 요구조건에 딱 맞는사람은 찾기란 쉽지 않아요.
세상에 완벽한 사람은 없잖아요)
8,(응용표현으로)
"Please check back in with me next week"
(다음주에 다시 저에게 연락해주세요)
9,"I just wanted to check in on you, and see how you're holding up"
(당신이 잘 견뎌내고 있는지 확인해보려고 연락했어요)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Let me double-check”
*<오늘의 Survival English>
* “잠깐만요. 다시 확인해보고요”
일상에서 흔히 쓰는 check. 이 단어에도 여러
전치사(preposition)가 붙으면 뜻이 아주 다양해집니다.
오늘은 그중 일부를 알아봅니다.
1, "Let me check with him and get back to you"
(그에게 확인해보고 연락드리겠습니다)
2,"How about having dinner at my house tonight?"
(오늘 우리집에서 저녁 함께 할까요?)
"Let me check with my wife and get back to you"
(제 아내와 애기해보고 말씀드릴께요)
3,"Let me get back to you on that. I have to check with my husband"
(그 문제는 나중에 연락드리겠습니다. 제 남편과 상의해보고요)
4,(재차 확인할때)
"Let me double-check"
(실수가 없도록 한번 더 확인해보겠습니다)
5,"Our meeting is on tomorrow, right?"
(우리 내일 만나는거 맞지요?)
"I think so, but let me double-check and get back to you"
(그럴걸요, 하지만 다시 확인해보고 연락할께요)
6,"It never hurts to double-check"
(재차 확인해서 나쁠것 없어요)
7,"I just want to double-check. You don't wanna go there, right?"
(다시 확인하건데, 거기 가고싶지 않은거 맞지요?)
8,(누구와 연락을 할 때)
"I will check in with manager"
(어떤 상황인지 매니저에게 연락해보겠습니다)
9,"I'll check in with you later"
(나중에 또 연락할께요)
*이 check의 여러 용례는 내일 다시 다루겠습니다.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Follow through의 중요성
*<오늘의 Survival English>
골프에서 많이 쓰는 Follow through…
오늘의 주제는 follow(따라가다)입니다.
일상에서 우리가 가장 많이 쓰는 말은 아마 follow up일겁니다.
즉 어떤 일에 대한 후속조치를 뜻하지요.
1,"Please follow this up and get back to me"
(이 문제에 대해 계속 알아보고 나한테 연락해요)
2,"He wants to hear the follw-up story of that"
(그는 그것의 후속조치에 대해 알고 싶어 합니다)
3,(follow through(쓰루) = 끝까지 완수하다)
(골프 레슨에서 흔히 쓰는 말)
"It's all about the rhythm. Swing back. Follow through"
(리듬이 가장 중요합니다. 뒤로 스윙했다가 그대로 끝까지 쭉 뻗어주세요)
3,"I make my detailed plans every day,
but it's not easy to follow through on them"
(나는 매일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세우긴 하는데
그것을 끋까지 완수하기가 쉽지 않아아요)
4,"I am good at ideas. I am just not good with follow-through"
(나는 아이디어는 많은데 실행이 잘 안돼요)
5,(요런 얄미운 사람도 있죠)
"She is all talk. She never follows through"
(그녀는 입만 살았지 실제 행동은 전혀 안해요)
6,"I promised you that I would buy you dinner,
but I didn't follow through. For that, I'm really sorry"
(내가 저녁을 산다고 약속해놓고 실천을 못했네요.
그점에 대해 죄송합니다)
7,"Make sure to follow through on your promise"
(약속은 꼭 지키도록 하세요)
8,"He has followed through on exactly what he has offered"
(그는 자신이 제안한 것들은 모두 지켰습니다)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I will circle back”
*<오늘의 Survival English>
*“(확실히 알아보고) 다시 답변드리겠습니다”
Circle(써클)은 동그라미(명사), 빙빙 돌다(동사)의 뜻이죠.
Inner circle(조직의 핵심층), Sit in a circle(동그랗게 둘러 앉다)…
오늘은 다른 중요한 의미를 알아봅니다.
1,(나중에 다시 얘기하자고 할때)
"Let's circle back to that matter later"
(그 문제는 나중에 다시 얘기합시다)
2,(다시 오겠다고 할때)
"I will circle back in a minute"
(곧 다시 올께요)
( = I will be right back"
또는 "I will be with you shortly"
(바로 다시 돌아올께요)
3,(앞서 얘기한 주제로 돌아갈때)
"I wanna circle back to the topic for a second"
(아까 말씀드린 주제로 잠시 돌아가서…)
4,"I'd like to circle back to my earlier comment"
(제가 아까 한 말에 대해 다시 얘기하고자 합니다)
5,(자꾸 똑같은 얘기를 반복할 때)
"We are talking in circles here. We need to make concrete plans"
(우리는 지금 똑같은 얘기만 반복하고 있는데, 이젠 구체적인 계획을 만들어야 합니다)
6,"Let's take a 5-minute break. We are talking in circles here"
(5분만 쉬었다 합시다. 우리는 계속 같은 예기만 반복하고 있네요)
7,(빙빙 돌려 말할때)
"Stop talking in circles. Just give it to me straight"
(자꾸 빙빙 돌려 말하지 말고 솔직하게 말해봐요)
8,"You're talking in circles. It's confusing"
(당신이 자꾸 돌려 말하니 혼란스러워요)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My bad”
*<오늘의 Survival English>
*“에구, 내가 이런일을 하다니 믿을수가 없어요. 죄송해요”
어떤 일이나 대화를 하다보면 약간의
실수를 할 때가 있지요. 이럴 때 바로 잘못을 인정하고
시정하는 것이 현명하겠죠. 오늘은 이런 말...
1,(의도하지 않은 실수 = honest mistake)
"Sorry, it was an honest mistake"
(미안합니다. 일부러 그런게 아니었어요)
2,"Don't worry. We all make mistakes"
(걱정마세요, 누구나 실수를 하는 법이죠)
3,(아주 간단하게)
"My bad"
(아, 제가 잘못(실수)했습니다)
(= My mistake도 같은 말)
4,"Oh, I am sorry. My bad"
(아, 죄송합니다. 제가 실수했네요)
5,(잘못 말하고 금방 시정할때)
"I lied"
(아, 제가 말을 잘못했습니다)
"I lied. I said that it's the last one…
We actually have one more thing to do"
(아, 죄송합니다. 그게 마지막이라고 했는데,
우리가 할일이 하나 더 있습니다)
6,(상대방이 실수를 했을 때)
"I think you're mistaken"
(뭔가 잘못 아시는거 같네요)
(사소한 잘못에 You're wrong이라고 직설적으로
말하기보다 이렇게 부드럽게...)
7,(잘못을 강하게 지적할 땐)
"You're wrong to behave(비헤이브) that way"
(그렇게 행동하면 안되죠)
8,"I wouldn't act like that"
(저라면 그렇게 행동하지 않을거예요)
9,(실망하는 상대에게)
"Come on. There is no right or wrong answer in life"
(인생엔 정답이 없는 법입니다)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