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폭주에 전세계 초비상

*<이 시각 주요뉴스 Recap>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미국의 51번째주'…캐나다 병합 또 위협한 트럼프

"무역적자 좌시 않겠다…캐나다에 훨씬 나을 것" 거듭 주장

트뤼도 "천연자원 가지려는 속셈…농담 아니라고 느껴"

도널드 트럼프가 또다시 캐나다를 미국의 51번째 주로 병합(annexation) 하는 방안을 진지하게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9일 미국 폭스뉴스와의 '슈퍼볼' 사전 대담에서 "캐나다 합병 발언이 진심이냐(a real thing)"는 진행자의 질문에 "그렇다"고 답하고 "캐나다가 51번째 주가 되는 것이 훨씬 나을 것"이라고 거듭 위협했다.

이에 앞서 저스틴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지난 7일 경제·노동계 인사들과 만나 캐나다를 51번째 주로 만들겠다는 트럼프의 발언에 대해 "진심으로(a real thing) 생각하고 있는 사안"이라고 평가한 바 있다.

트뤼도 총리는 "트럼프는 캐나다 천연자원 접근권을 확보하는 가장 쉬운 방법이 캐나다를 흡수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듯하다"며 "그와 나눈 대화에서 이것이 단순한 농담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느꼈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폭스뉴스 대담에서 "미국은 캐나다와의 무역에서 매년 2000억 달러를 잃고 있고 나는 그런 일이 계속되도록 두지 않을 것"이라며 "왜 우리가 사실상 캐나다에 2000억 달러를 보조금으로 주고 있는 것이냐"고 반문했다.

미국은 원유를 비롯한 캐나다산 천연 자원을 수입하느라 무역적자를 보고 있다.

두 국가 간 상품 무역적자는 최근 몇 년간 증가해 2023년 720억 달러에 달했다.

https://www.ctvnews.ca/politics/article/trump-says-his-desire-to-make-canada-the-51st-state-is-a-real-thing/…

트럼프 "10일 철강 25% 추가 관세 발표…상호관세는 11일께"

"관세가 US스틸 매우 성공적으로 만들 것…알루미늄도 25% 관세"

"상호관세 모두에 영향 미치진 않아…美 이용하는 국가들에 상호주의 적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늘(10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발표한다.

트럼프는 9일 미국프로풋볼 결승전인 슈퍼볼이 열리는 뉴올리언스로 이동하는 전용기(에어포스원) 안에서 기자들에게 이 같은 계획을 공개했다.

트럼프는 "미국으로 들어오는 어느 철강이든 25% 관세를 부과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엔 캐나다 제품도 포함된다.

그는 알루미늄에 대해서도 질문받자 "알루미늄도 그렇다"라고 답했다.

트럼프는 첫 임기 때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해 국가 안보를 이유로 철강 제품에 25% 관세를, 알루미늄 제품에 10% 관세를 각각 부과한 바 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새로 발표하는 관세는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기존 관세에 추가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세에 대한 이야기는 트럼프가 일본제철의 미국 철강기업 US스틸 인수 관련 질문에 답변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트럼프는 다른 나라가 US스틸을 인수하게 두지 않겠지만 일본제철이 소수 지분에 투자하는 것은 괜찮다면서 "누구도 US스틸의 과반 지분을 가질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US스틸이 미국의 위대한 기업이었지만 나쁜 정부와 경영 때문에 쇠락했다면서 "관세는 US스틸을 매우 성공적인 기업으로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또 오는 11일이나 12일에 상호관세를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트럼프는 미국에 관세 등 불리한 교역 조건을 적용하는 국가와 공평한 교역을 위해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약했지만, 상호관세의 정확한 개념을 설명하지 않아 그 범위와 수준 등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트럼프는 "매우 간단하게 만약 그들이 우리한테 (관세를) 청구하면 우리도 그들을 청구할 것이다. 그게 전부다"라고 말했다.

그는 상호관세를 언제 적용하냐는 질문에 "거의 즉시"라면서 "하지만 난 세부 내용을 발표할 것이며 이건 다른 나라들을 포함해 모두에게 좋을 것이다. 그들이 우리에게 130%(관세)를 부과하는데 우리가 아무것도 부과하지 않는다면 그런 상황이 계속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모든 국가에 상호관세를 부과하냐는 질문에는 "모든 국가가 상호적일 것이다.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다. 우리와 비슷한 관세가 있는 어느 곳들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국을 이용하는 국가들에는 상호주의를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관세 장벽이 높은 국가와, 한국처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해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상당 부분 철폐한 나라는 다르게 대우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시사한 것으로 볼 수도 있어 주목된다.

…………………………..

트럼프발 관세전쟁 확전에 전세계 비상…유럽 '즉각 대응' 천명

美, 철강 등에 25% 관세 부과하고, 상호 관세 도입 예고

독일 총리 "1시간 내 대응"…기업들, 불확실성 고조 속 플랜B 검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카드'를 추가로 꺼내들면서 긴밀한 교역 관계로 얽힌 전 세계 경제주체들의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다음 타깃이 될 수 있는 유럽의 정상들 사이에서도 '즉각 대응'이 거론되면서 글로벌 무역 전쟁의 전운이 짙어지는 형국이다.

이에 다국적 기업들은 증폭되는 불확실성 속에 투자를 보류하고 앞으로의 흐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국이 지난 4일 부과하기 시작한 대중(對中) 추가 10% 관세에 대해 중국 측이 베이징 시간으로 이날 0시를 기해 '대미 보복 관세'에 나서자 트럼프 대통령이 또 다른 '관세 폭탄' 투하에 나선 것이다.

트럼프는 앞서 캐나다·멕시코·중국을 보편 관세로 압박한 데 이어, 이번에는 한발 더 나아가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식의 상호 관세, 품목별 관세 부과 방침을 공식화하며 글로벌 무역 전쟁에 기름을 부었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이날 차기 총선 토론회에서 미국의 관세에 맞서 '고통을 줄 대응 방안'(list of cruelties)이 있느냐는 질문에 "있다. 외교적인 표현으로 설명하자면, 유럽연합(EU)은 1시간 내에 대응할 수 있다"고 답변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도 CNN과 인터뷰에서 "관세를 부과한다면 미국의 물가가 오르게 된다. 그것을 원하느냐"며 유럽과 미국의 경제 모두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EU가 "우리 자신을 위해" 미국의 움직임에 대응할 준비를 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이처럼 긴장이 고조되자 무역 비중이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한국에서도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이날 한국 증시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25% 부과 방침에 철강 업종이 일제히 약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수입 물량의 15%를 차지하는 유럽 경제계의 걱정도 크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유럽에 거점을 둔 다국적 기업들이 불확실성에 전전긍긍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유럽 최대 에너지 기업 중 하나인 독일 RWE의 마르쿠스 크레버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한 콘퍼런스에서 미국의 관세 위협으로 인해 미국에서의 풍력·태양광 발전 관련 투자를 줄이고 있다고 밝혔다.

배터리 등 미국에서 생산되는 중간재들은 수입이 불가피한데, 어떤 품목을 들여올 수 있을지 불확실성이 커져 투자도 위축될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크레버 CEO는 그러면서 "트럼프 행정부가 서둘러 불확실성을 제거하지 않는다면 의도와 정반대의 결과를 받아들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도 보고서에서 "문제는 관세 자체가 아니라 불확실성"이라며 "불확실성이 경제 성장률을 둔화시키고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https://www.cnn.com/2025/02/09/business/trump-tariffs-steel-aluminum/index.html...

…………………………..






















Previous
Previous

“작은일부터 차근차근 개선”

Next
Next

한인회장 할 사람 이렇게도 없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