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 카니 총리 첫 국제무대 데뷔

*<이 시각 주요뉴스 Recap>

*마크 카니 연방총리가 부인 Diana Fox Carney(60)와 함께 유럽을 방문하기 위해 비행기에 탑승하는 모습

마크 카니 연방총리 유럽行, ‘트럼프 대응방안’ 협의

마크롱·스타머와 연쇄 정상회담…英국왕 찰스3세도 예방 예정

마크 카니 캐나다 신임 총리가 프랑스와 영국을 방문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장벽 등에 대한 대응 방안을 협의한다.

연방 총리실에 따르면 카니 총리는 16일부터 18일까지 사흘간의 일정으로 파리와 런던 등지를 방문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와 잇따라 정상회담을 한다.

카니 총리가 유럽 2개 동맹국 순방에 나선 것은 지난 14일 취임한 지 이틀만이다.

카니 총리는 먼저 17일 파리에서 마크롱 대통령과 회담한 뒤 런던으로 넘어가 스타머 총리와 회담하고 찰스 3세 국왕도 예방할 계획이다.

영국과 프랑스는 과거 북미대륙에서 식민지 경쟁을 하는 과정에서 캐나다를 건국한 양대 국가로, 캐나다와 역사·정치·문화·언어적으로 매우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온 나라들이다.

과거 영국 식민지였다가 독립한 국가들이 모인 느슨한 정치동맹체인 '영연방'의 일원인 캐나다의 국가원수는 영국 국왕인 찰스 3세이기도 하다.

총리실은 카니 총리가 영국·프랑스 두 나라를 방문해 "가장 가깝고 오래된 우리의 경제·안보 파트너십"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카니 총리의 취임 후 첫 해외 일정인 이번 순방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장벽과 미국 우선주의적 외교 노선 등을 놓고 전통적 우방인 영국·프랑스와 함께 대응 방안 공조를 논의하기 위해서다.

트럼프는 국경을 맞댄 이웃 나라이자 주요 동맹국인 캐나다를 상대로 관세장벽을 치고 '미국의 51번째 주가 되라'는 등의 조롱성 비난을 하며 오랜 기간 평화로웠던 양국의 갈등이 심각한 수준으로 치닫고 있다.

카니 총리는 지난 14일 취임식에서 "캐나다는 프랑스, 영국, 원주민들의 토대 위에 건설됐다"면서 "캐나다는 절대로 어떤 방식으로든, 어떤 형태로든, 어떤 형식으로든 미국의 일부가 되지 않겠다"고 말했다.

런던 방문은 카니 총리에게는 '컴백'이기도 하다.

그는 2013∼2020년 영국 중앙은행인 잉글랜드은행(BOE)의 300년 넘는 역사상 처음으로 외국인으로서 총재를 맡아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에 따른 경제 충격에 대응했다.

카니 총리는 이번 순방의 마지막 방문지로 캐나다의 북극 영토인 누나부트 준주의 주도 이칼루이트도 들를 예정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서방과 러시아, 중국 간에 긴장이 고조되면서 북극의 군사적 중요성이 예전보다 훨씬 커진 상황이다.

총리실은 총리의 이번 방문을 통해 "캐나다의 북극 안보와 주권을 재확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https://www.ctvnews.ca/politics/article/carney-looks-to-europe-as-us-relationship-remains-uncertain/…

…………………………………..

토론토대중교통위원회(TTC: Toronto Transit Commission), 오늘부터 버스승객이 요금을 제대로 내는지 검문 시작...

TTC 소속 요금검사원(fare inspector)은 각 버스정류장에 상주하면서 버스 승객이 내려 지하철로 갈아타는 과정에서 요금을 제대로 냈는지 확인...

요금을 안내고 적발될 경우 425달러의 벌금 티켓...

TTC는 버스요금을 안내는 얌체승객으로 인해 연간 1억4천만불어치의 요금수입 손실이 발생하다고 강조...

https://toronto.citynews.ca/2025/03/14/ttc-bus-fare-inspectors/...

……………………………….

트럼프가 깨운 캐나다 분리주의 씨앗?…

반미 정서 대세지만 국민 10% "美 편입 환영"

앨버타주 등 서부 지역 노동 계급 일부 호응

"트뤼도 정권서 우리만 손해"

캐나다를 미국의 '51번째 주'로 편입할 수 있다는 트럼프의 발언으로 인해 캐나다 국민들 사이에서 반(反)미 정서가 급격히 확산하고 있지만, 비록 소수이긴 하지만 이를 환영하는 움직임도 일부 보수층 유권자들 사이에서 감지되고 있다.

특히 진보 정권의 친환경 정책 등에 불만을 느끼던 서부지역 주민들의 오래된 '분리주의 정서'를 트럼프가 건드렸다는 진단이 나온다.

15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캐나다 여론조사기관 앵거스 리드 조사에서 캐나다 국민의 90%는 캐나다가 미국의 주로 편입되는 것에 반대한다고 답했다.

그러나 캐나다 레지나대학 역사학 교수인 레이먼드 블레이크는 텔레그래프에 응답자의 10%가 사실상 배신행위로 여겨지는 미국 편입을 "환영한다"고 답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이는 트럼프가 앨버타·서스캐처원 등 캐나다 일부 서부 주에 존재하던 뿌리 깊고 오래된 분리주의 정서를 자극한 결과라는 것이다.

앨버타와 서스캐처원 인구는 캐나다 전체의 약 10%로 이번 여론조사 결과와도 정확히 맞아떨어진다.

이 중 분리주의 세력이 특히 강한 앨버타주는 캐나다의 대표적인 석유 생산 지역이다.

석유로 인한 소득에 힘입어 이 지역은 캐나다 전체에서 가장 부유한 주 중 하나지만, 주민들 사이에서는 캐나다의 진보 정권의 정책으로 자신들이 오히려 손해를 보고 있다는 불만이 커져왔다.

지난 주 자리에서 물러난 저스틴 트뤼도 전 총리의 아버지인 피에르 트뤼도 전 총리는 1980년대 초부터 앨버타주에서 생산한 석유로 벌어들인 수익을 퀘벡주나 진보 성향의 온타리오주 등 캐나다 다른 지역에 분배하는 정책을 펼쳤다.

2015년 들어선 아들 트뤼도 정권은 친환경 기조를 내세우며 화석연료 생산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 결과 이 지역 노동자들 사이에서는 자신들이 생산하는 석유로 먹고 사는 동부 지역의 도시 엘리트들로부터 정작 자신들은 무시당하고 있다는 정서가 퍼진 것이다.

앨버타주의 석유 생산 노동자인 크리스 헌터(40)는 텔레그래프에 "가족들과 함께 미국으로 이주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달 초 앨버타주의 한 농장에서는 캐나다의 미국 편입을 지지하는 일부 지지자들이 모인 소규모 집회가 열리기도 했다.

집회에서는 캐나다 정부의 백신 의무화 정책부터 캐나다의 국방력 약화 등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나왔으며 한 참가자는 브렉시트(Brexit·영국의 EU 탈퇴)를 언급하며 앨버타주도 영국이 그랬듯 캐나다 연방에서 나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https://angusreid.org/trump-carney-51st-state-canada-usa/...

https://www.telegraph.co.uk/us/news/2025/03/15/the-canadians-who-want-trump-to-turn-canada-into-51st-state/...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Previous
Previous

“첫집 구입자 GST 면제”

Next
Next

블랙핑크 토론토 공연 티켓 말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