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 me get this straight

*<오늘의 Survival English>

*“그러니까 당신은 그것이 좋다고 생각하는거죠?”

“네. 저는 아닌 척 꾸미는게 피곤해요”

누구와 대화를 하거나 전화통화를 하고 난 후 그 뜻을 정확히 이해했는지 긴가민가할 때가 있죠.

이럴 땐 "Let me get this straight" (그러니까 당신말은 ~란 뜻이죠?)라고 하면 됩니다.

1,"Let me get this straight. You don't want it, right?"

(그러니까 당신은 그걸 원치 않는다는 말씀이죠?)

2,(횡설수설하는 사람에게)

"Let me get this straight. You wanna meet her in person"

(그러니까 그녀를 직접 만나보고 싶다는거죠?)

3,(어처구니가 없어 되물을 때도)

"Let me get this straight. You're saying that it's my mistake?"

(그러니까 당신은 이게 저의 실수탓이란겁니까?)

4,(또다른 표현)

"Just give it to me straight"

(그냥 솔직히 말해주세요)

5,(상대가 빙빙 돌려 말할 때)

"Don't sugarcoat it.

Give it to me straight"

(괜히 사탕발림하지 말고 솔직하게 말해봐요)

(sugarcoat=보기 좋게 꾸미다. 사탕발림하다)

6,"I will be straightforward. I don't think it's doable"

(제가 솔직히 말할께요. 저는 그게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straightforward(스트레잇포워드): 솔직한, 간단 명료한)

(doable(두어블): 할 수 있는)

7,(‘솔직한’의 또다른 표현)

"I'll level with you"

(제가 탁 터놓고 얘기할께요)

(=I wanna be straightforward)

(level(레블): 정도, 수준)

8,"Please level with me"

(저에게 솔직히 말해주세요)

9,(간단한, 쉬운)

"No worries. It's a straightforward process"

(걱정 마세요. 그건 간단한 절차이니까)

10,"As you can see, the contract is rather straightforward"

(보시다시피 계약내용은 꽤 간단합니다)

*Straight의 연관 표현에 대해서는 다음에 또 다루겠습니다.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Previous
Previous

It's not for me

Next
Next

I thought you'd never a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