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로지 미국만을 위해”
*<캐나다산 수입車 관세 한 달 면제>
'25% 관세'에 부분적 예외…"4월 2일 상호관세 발효" 재확인
*캐-미 국경을 통해 미국으로 수입되는 캐나다산 차량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4일부터 시행 중인 캐나다 대상 25% 관세 부과에서 자동차에 한해 1개월간 적용을 면제한다고 5일 발표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우리는 '빅3' 자동차 업체와 대화했다"며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을 통해 (미국으로) 들어오는 자동차에 대해 1개월간 관세를 면제할 것"이라고 밝혔다.
레빗 대변인은 "USMCA와 연관된 업계의 요청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이 경제적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관세 적용을 한 달 면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1개월 면제 조치가 캐나다, 멕시코와의 관계를 염두에 둔 것이 아니라, 자국 산업계를 보호하기 위함임을 분명히 한 것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GM, 포드, 스텔란티스 등 미국 자동차 메이커 '빅3' 대표와 통화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지난달 4일부터 부과하려다 한 달간 유예했던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부과 조치를 지난 4일부터 시행했다.
그러나 자유무역협정의 일종인 USMCA에 따른 무(無)관세로 공급망이 하나로 통합된 이들 국가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미국 업체들의 주가가 급락하는 등 미국 경제도 타격을 받고 있다.
또 관세가 미국내 자동차 소비자 가격의 급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이번에 캐나다와 멕시코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 1개월 면제 결정으로 USMCA를 활용키 위해 멕시코에 진출한 한국 자동차 업체와 부품 업체 등은 향후 대응책을 준비할 시간을 벌게 됐다.
한편, 레빗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내달 2일 각국의 관세율과 비관세 장벽을 감안해 적용하는 '상호 관세'가 발효된다고 재확인했다.
………………………………….
트럼프·트뤼도 50분간 소통 "비교적 우호적 분위기"
트뤼도 "펜타닐 상황 나아졌다" vs 트럼프 "불충분"
트럼프, 트뤼도에 '주지사'로 부르며 "권력유지 위해 美관세 이용"
이에 앞서 트럼프는 저스틴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통화를 했다.
트럼프는 소셜미디어(SNS)에 올린 글에서 "캐나다의 저스틴 트뤼도가 관세와 관련해 어떤 것을 할 수 있는지 묻기 위해 전화했다"라면서 "그 통화는 다소 우호적인(somewhat friendly) 분위기 속에서 끝났다"고 말했다.
그는 멕시코와 캐나다 국경을 통해 유입되는 펜타닐로 다수의 사람이 죽고 있다는 자신의 언급에 대해 트뤼도 총리가 "상황이 나아졌다"고 답변했다고 전한 뒤 "나는 '그것은 충분하지 않다'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캐나다의 미국 편입을 주장하고 있는 그는 트뤼도 총리를 '주지사'로 거론하면서 "그의 약한 국경 정책이 우리가 겪고 있는 문제를 대부분 야기하고 있다"라면서 불법 이민 및 펜타닐 문제의 원인이 캐나다에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러면서 총리직 사임 의사를 발표한 트뤼도 총리에게 '선거가 언제 진행되느냐'고 물었으나 트뤼도 총리는 말할 수 없다고 답했다고 전한 뒤 "그는 이 이슈(미국의 대캐나다 관세)를 이용해 계속 권력을 유지하려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와 트뤼도 총리간 통화는 50분간 진행됐다.
https://www.cbc.ca/news/politics/trump-trudeau-trade-war-1.7475242…
……………………………….
美·캐나다 관세싸움, 쟁송으로 번져
WTO 분쟁절차 개시
트럼프의 25% 관세 부과에 보복 관세로 대응한 캐나다가 세계무역기구(WTO)에 이 사안에 대한 분쟁 협의를 정식 요청함에 따라 양국은 제소 절차로도 맞서게 됐다.
WTO에 따르면 캐나다는 5일 자국 상품에 대해 미국이 관세를 새로 부과하면서 빚어진 다툼을 해결해 달라며 분쟁 협의 신청을 냈다.
분쟁 협의 신청은 WTO 제소 절차의 첫 단계다.
분쟁 당사국은 60일간 협의를 통해 다툼을 해결할 방법을 찾는다. 이 기간이 지나도록 타협점을 찾지 못하면 WTO 패널(전문 심사단)에 판정을 요청하게 된다.
트럼프는 전날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수입한 제품에 25% 관세를, 중국에서 수입한 제품에는 지난달 10%에 이어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미국은 캐나다·멕시코와 무역협정(USMCA)을 체결해 서로 관세를 적용하지 않기로 했지만, 트럼프sms 이를 깨고 관세 부과를 강행했다.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은 앞다퉈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 관세를 예고하며 맞대응에 나섰다.
미국의 오랜 우방이자 이웃인 캐나다의 대응이 주목받았다.
캐나다는 전날 3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에 맞불 보복 관세를 즉각 발표한다고 밝혔고, WTO 및 USMCA 체제를 통해서도 이의제기를 하겠다고 공언했다.
이날 캐나다가 WTO에 분쟁 협의를 신청하면서 미국과의 캐나다의 무역분쟁은 국제기구 내 쟁송으로도 번진 양상이다.
https://www.cnn.com/2025/03/05/business/tariffs-autos-mexico-canada-paused/index.html…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