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 붕괴사고 실종자 숨진채 발견

*<이 시각 주요뉴스 Recap>

*광명 지하터널 붕괴사고 현장

광명 지하터널 붕괴사고 실종자 숨진 채 발견

사고 125시간 만에 지하 21m 지점 컨테이너 주변서 찾아

붕괴 사고가 발생한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현장에서 실종됐던 근로자 1명이 16일 숨진 채 발견됐다. 16일 소방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이번 사고로 실종됐던 포스코이앤씨 소속의 50대 근로자 A씨를 발견했다.

구조대원들은 오후 8시 11분 사망한 상태의 A씨를 수습했으며, 중앙대 광명병원으로 이송했다. 사고 발생 125시간여 만이다.

앞서 소방당국은 오후 6시 30분께 내시경 카메라로 신체 일부를 확인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이어 오후 8시 3분께 지하 21m 지점에서 A씨의 신체 전체를 확인했다.

붕괴현장 상황이 열악해 A씨를 현장 바깥으로 옮겨 상태를 확인하기까지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됐다.

홍건표 광명소방서 화재예방과장은 "6일차인 오늘 굴착기와 크레인 이용해 잔해를 제거하고 실종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교육동 컨테이너 부분까지 수색했다"며 "실종자를 수습해 병원으로 이송했는데, 뜬눈으로 기다리던 실종자 가족에게 구조 소식을 전하지 못해 죄송하다"고 말했다.

앞서 소방당국은 사고 직후 A씨와 20대 굴착기 기사 B씨가 현장에 고립됐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구조 및 수색 작업을 이어왔다. B씨는 사고 발생 13시간 여만인 지난 12일 오전 소방 당국에 의해 무사히 구조됐다.

B씨는 고립 초기부터 전화 통화가 가능했으나 A씨의 경우 사고 직후 휴대전화 전원이 켜졌다 꺼지기를 반복했으며 사고 발생 1시간여 뒤에는 아예 전원이 나가 위치 추적이 불가능해졌다.

https://www.yna.co.kr/view/AKR20250416162953061?section=economy/all&site=topnews01...

…………………………………

0…어제(화) 밤 11시경 토론토 동남쪽 Riverdale 지역의 Bain Avenue and Logan Avenue에서 총격사건 발생, 2명의 남성 사망...

사건 당시 두 남성은 차 안에 있었으며 2명의 용의자들이 다가와 총격...

경찰은 특정인을 겨냥한 표적(targeted) 사건으로 보고 2명의 용의자들 추적중...

Riverdale 지역에서는 한달 전에도 총격사건이 벌어져 3명의 청소년들이 부상당해...

https://toronto.citynews.ca/2025/04/15/north-riverdale-males-injured-shooting-riverdale/...

0…어제(화) 오후 1:54분경 토론토 메트로폴리탄대학교(Toronto Metropolitan University: TMU, 구 라이어슨대학교) 캠퍼스 구내의 Nelson Mandela Walk 도로에서 차량 한대가 인도를 걸어가던 행인 4명을 치여 부상자들 병원으로 급송...

사건 당시 차량은 행인중 1명을 타깃으로 삼아 차를 난폭하게 돌진시켰으나 다른 행인들까지 큰 부상...

대학 관계자는 부상자들이 이 학교 학생이나 교직원은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고 확인...

경찰, 차량 운전자와 부상자들은 서로 아는 사이로 추정하고 수사중...

https://toronto.citynews.ca/2025/04/15/pedestrians-struck-by-vehicle-tmu-yonge-gerrard/...

……………………………………

"캐나다서 계속 생산하면 관세 없어"…

마크 카니 총리, 자동차 업체 '붙잡아두기' 총력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15일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캐나다에서 자동차를 계속 생산하면 관세 없이 미국산 자동차와 트럭을 수입할 수 있도록 허용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카니 총리는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캐나다에서 생산과 고용, 투자를 계속하면 우리의 대응 관세는 적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카니 총리는 지난 3일 도널드 트럼프가 부과한 25% 자동차 관세에 대응해 미국산 자동차에 25% 맞불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조치로 미국 자동차 업체 제너럴모터스(GM), 스텔란티스 등 관세 직격탄을 맞았던 주요 자동차 업체들의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GM과 스텔란티스는 캐나다에 조립 공장을 두고 있지만 여전히 미국에서 캐나다로 자동차를 대량 수출하고 있다.

카니 총리의 이번 발표는 트럼프 관세 여파로 자동차 업체들이 캐나다에서 생산을 중단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나왔다.

스텔란티스는 온타리오주 윈저에 있는 크라이슬러와 닷지 생산 공장의 가동을 일시 중단했으며 GM은 전기 밴에 대한 수요가 적어 캐나다 공장을 몇 달 동안 폐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포드자동차는 토론토 교외에 조립 공장이 있지만 현재 가동을 중단한 상태다.

한편, 일본 혼다자동차는 미국 판매 차량의 90%를 현지에서 생산한다는 목표 아래 일부 생산라인을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

하지만 혼다는 이같은 보도를 부인하고 계속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Alliston에 머물 것이라고 밝혔다.

혼다는 현재 온타리오주 공장에서 CR-V, 시빅 차량을 생산하고 있으며, 지난해 캐나다에 전기차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해 150억 달러 규모의 장기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오는 28일 조기 총선을 앞둔 카니 총리는 기자들에게 자신과 장관들이 글로벌 자동차 업체 경영진과 여러 차례 대화를 나눴다고 말했다.

https://toronto.citynews.ca/2025/04/15/honda-plant-ontario-us-auto-tariffs/...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협찬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협찬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Next
Next

트럼프 관세폭탄에 세계증시 패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