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 카니 총리 ‘캐나다 주권 지키기’

*<이 시각 주요뉴스 Recap>

*영국 찰스 3세 국왕과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런던 버킹엄궁에서 만나 환담하는 모습

마크 카니 총리 "트럼프, 무례한 발언 중단해야 대화 시작"

'美 51번째주로 병합' 발언 문제삼아…"美에 맞불관세 대응 한계" 인정

취임 직후 유럽을 순방 중인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17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캐나다를 향해 무례한(disrespectful) 발언을 중단해야 양국 관계에 대한 진지한 대화를 시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카니 총리는 이날 순방지인 영국 런던에서 기자들과 만나 캐나다를 미국의 51번째 주로 병합하겠다는 트럼프의 발언에 대해 "우리는 이런 발언에 대해 지적해왔다"며 "이는 무례하고, 도움이 되지 않으며, 미국과 폭넓은 파트너십에 관한 대화를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중단돼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카니 총리는 집권 여당인 자유당 대표로 선출된 지난 9일 첫 연설에서 "미국이 우리에게 존중을 보여줄 때까지 우리의 (보복) 관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말하며 강경한 태도를 견지한 바 있다.

한편 카니 총리는 캐나다가 미국에 '맞불 관세'로 대응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협상을 통한 문제 해결 의지를 강력히 내비쳤다.

그는 "캐나다 경제 규모가 미국의 10분의 1 수준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일대일 보복 관세 대응 방식은 한계가 있다"며 미국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할 때만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카니 총리는 캐나다와 미국이 통상·안보 관계 전반에서 포괄적인 대화와 협상을 원한다면서 "미국이 그런 대화를 할 준비가 되면 우리는 곧바로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라고 말했다.

저스틴 트뤼도 전 캐나다 총리를 '주지사'라고 폄하해 불렀던 트럼프는 카니 총리의 집권 이후 그에 대해서는 침묵을 유지하고 있다.

카니 총리는 캐나다 중앙은행 총재와 영국 중앙은행 총재를 지낸 '경제통'으로, 당내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에 대응할 적임자로 급부상해 트뤼도 전 총리에 이어 총리직에 올랐다.

https://www.ctvnews.ca/politics/article/carney-says-theres-a-limit-to-us-tariff-response-says-canada-can-stand-up-for-ourselves/

……………………………..

가자 휴전 2달만에 파국…이스라엘 "전투 복귀"

이스라엘 전격 공습에 300여명 사망…'대피령' 추가 작전 예고

美 "이스라엘과 협의, 지옥 열린다"…하마스 "휴전 뒤집어" 반발

이스라엘의 전격적인 가자지구 대규모 공습으로 수백명의 사상자가 나오면서 휴전이 발효 2개월 만에 파국을 맞고 있다.

*이스라엘군의 무차별 공습으로 폐허가 된 가자지구 도심

지난 몇 주간 이어진 휴전 연장 논의가 교착에 빠진 가운데 이스라엘이 공습 후 추가 군사작전을 예고하면서 가자지구가 다시 포화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이스라엘군은 18일 오전 2시께 가자지구 전역에 걸쳐 고위급 지휘관, 땅굴, 무기 저장고 등 하마스 목표물 수백개를 노린 광범위한 공습을 가했다.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국방장관은 성명에서 "하마스가 인질 석방을 거부하고 이스라엘에 해를 끼치겠다고 위협하는 가운데 우리는 가자지구 전투에 복귀했다"고 선언했다.

카츠 장관은 "인질들이 모두 귀환하고 전쟁의 모든 목표가 달성될 때까지 싸움을 멈추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공격은 지난 1월 19일 가자지구에서 휴전이 발효한 이후 최대 규모로, 하마스가 통치하는 가자지구 보건부는 팔레스타인 주민 최소 326명이 사망했다고 집계했다.

양측은 애초 합의된 42일간의 휴전 1단계가 이달 1일로 만료된 후에도 휴전 연장 논의를 이어가며 충돌을 자제하는 분위기였지만, 양측의 입장이 줄곧 평행선을 달린 끝에 협상이 사실상 결렬된 상황으로 보인다.

이스라엘은 가자지구에 남은 자국민 인질의 석방 등을 압박하고자 군사작전 재개를 검토해왔고, 앞서 휴전 합의 성사를 끌어낸 뒤 연장 협상까지 중재하며 인내해오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마저 이스라엘에 동의하면서 공습이 이뤄졌다.

실제 백악관의 캐럴라인 레빗 대변인은 "트럼프 행정부와 백악관은 이번 가자 공습과 관련해 이스라엘과 협의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하마스, 후티, 이란 등 이스라엘이나 미국을 테러하려는 모든 이들은 대가를 치러야 할 것이며 지옥이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스라엘군이 이날 오전 베이트하눈, 칸유니스 등 가자지구 외곽 지역의 팔레스타인 주민들에게 대피령을 내리는 등 추가 군사작전이 임박했음을 시사하면서 사실상 휴전이 파기되고 교전 재개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 매체 악시오스는 이스라엘 관계자를 인용해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상대로 새로운 공격을 준비했으며, 이에 이스라엘군은 하마스를 기습하는 작전 계획을 비밀리에 수립했다"고 전하며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서 전쟁을 재개했다"고 언급했다.

예루살렘포스트, 와이넷 등 이스라엘 언론 다수도 "가자지구 휴전이 끝났다"고 평가했다.

하마스는 이스라엘군의 공습을 맹비난하며 이집트, 카타르 등 중동의 휴전 중재국과 접촉하고 나섰지만 협상 테이블이 다시 가동될지는 미지수다.

하마스는 성명에서 "네타냐후와 그의 나치 정부가 가자지구에서 무방비 민간인을 상대로 침략과 대량학살 전쟁을 재개했다"며 "네타냐후와 그의 극단주의 정부가 휴전 협상을 깨트리기로 결정한 탓에 가자지구의 포로들이 알 수 없는 운명에 처하게 됐다"고 주장했다.

………………………………

미국에서도 '관세전쟁' 우려 확산

72% "걱정된다"…66% "트럼프 관세정책 이후 경제 회복에 수년 걸릴 것"

미국에서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전쟁에 대한 우려 여론이 확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미국 성인 2,137명을 상대로 이달 8일부터 12일까지 진행한 해리스폴의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72%가 관세에 대해 우려한다고 밝혔다.

앞서 해리스폴의 1월 중순 여론조사에선 관세를 우려한다는 응답은 61%였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관세에 대한 우려 여론이 약 9%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또한 응답자의 66%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이후 미국 경제가 회복되기까지 수년이 걸릴 것이라고 답했다.

이와 함께 응답자의 59%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오래 지속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을 상대로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포문을 열었다.

이어 이달 12일에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했다. 전 세계 모든 국가에 부과하는 첫 품목별 관세다.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반도체 등에 대한 품목별 관세를 비롯해 내달 2일에는 국가별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관세를 우려하는 목소리는 응답자의 지지 정당별로 차이가 났다.

민주당 당원은 90%가 관세에 대해 우려한다고 답했지만, 같은 응답을 한 공화당 당원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57%였다.

이와 함께 공화당 당원들은 79%가 멕시코에 대한 관세가, 75%가 캐나다에 대한 관세가 정당하다고 답했다.

그러나 민주당 당원은 약 30%만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관세가 정당하다고 답했다.

한편, 경제와 인플레이션에 대한 미국인들의 우려는 정치 성향과 상관없이 모두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민주당 당원의 91%, 공화당 당원의 82%가 각각 경제와 인플레이션 가능성에 우려를 표시했다...

https://www.cnn.com/2025/03/18/business/trump-tariffs-trade-war-manufacturing-jobs/index.html ...

……………………………………

*이곳에 기사제보와 광고주를 모십니다.

*문의: 647-286-3798/ yongulee@hotmail.com

(독자 후원금 E-Transfer도 접수중)

*많은 독자분들이 후원금을 보내주시어 감사드립니다.

온라인 한인뉴스 대표 이용우

Previous
Previous

한국에 큰 산불 ‘재난사태’ 선포

Next
Next

탄소세 폐지, Hudson’s Bay 파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