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유한 시인
-예술과 생계 사이
‘한 줄의 시는커녕, 단 한 권의 소설도 읽은 바 없이/그는 한평생을 행복하게 살며 많은 돈을 벌었고/높은 자리에 올라 이처럼 훌륭한 비석을 남겼다/그리고 어느 유명한 문인이 그를 기리는 묘비명을 여기에 썼다/비록 이 세상이 잿더미가 된다 해도 불의 뜨거움 꿋꿋이 견디며/이 묘비는 살아남아 귀중한 사료가 될 것이니…’ (김광규 ‘묘비명’)
시인의 말대로 이 세상엔 한 줄의 시도, 한 권의 소설도 읽지 않은 사람일지라도 큰 재산을 모아 잘 살게 되면 주위에 추종자들이 몰리게 마련이다. 굳이 문화 예술 같은 고상한 식견(識見)이 없어도 많은 예술인과 교류하며 상류층의 삶을 누릴 수 있다.
개중에 ‘돈밖에 없는’ 사람이 뒤늦게나마 문화 예술에 눈을 떠 그들을 돕고 후원하는 사례가 있긴 하다.
예로부터 예술가와 문인들은 대체로 가난하다. 애당초 돈을 추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면 그런 세계에 발을 들여놓지도 않았을 것이다.
11년 전 80세로 별세한 한국 문단의 큰별 박완서 작가 빈소에는 “부의금을 정중히 사양하겠습니다"라는 안내문이 붙었다. 고인은 평소 “문인들은 돈이 없다. 내가 죽거든 찾아오는 문인들을 잘 대접하고 절대로 부의금을 받지 말라"고 당부했다.
0…문화 예술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부유층의 후원이 절대 필요하다. 여기서 메세나(Mecenat)라는 말이 나왔다. 기업의 문화 및 예술 분야에 대한 지원을 뜻하는 용어다. 로마제국 아우구스투스 황제 시절 예술가들을 활발히 지원한 부호이자 정치가인 마에케나스(Gaius Clinius Maecenas)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본래는 문화 및 예술분야에 대한 기업의 지원을 의미했으나 점차 스포츠 및 각종 사회단체에 대한 지원까지 의미가 확장되어 쓰이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면서 메세나 활동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서양에서는 14세기부터 왕, 귀족, 자본가들이 예술인을 후원하는 제도(patronage)가 존재했다. 16세기 영국 튜더 왕조기에 궁정인들(courtiers)의 후원은 문화예술을 꽃피우는데 큰 역할을 했다.
당시는 부와 권력을 지녔어도 문화자본을 갖추지 못하면 진정한 지도층이라 할 수 없었다. 후원제는 선택이 아니라 사회적 지위에 이르는데 필요한 열쇠였다.
이탈리아의 메디치 가문(The Medicis)은 지독하게 돈을 모아 우아하게 썼던 대표적인 예다. 평민 출신으로 환전상을 통해 부를 모은 로렌조 메디치는 축적한 부를 단테, 갈릴레오, 다빈치, 미켈란젤로 등 피렌체의 문인, 과학자, 조각가, 화가 등을 후원하는데 썼다.
덕분에 피렌체는 오늘날까지 아름답고 수려한 문화예술 도시로 존재하게 됐다.
0…무릇 세상사가 그러하듯 문화예술도 자본의 지원이 있어야 발전하고 반대로 자본도 문화예술이 뒷받침돼야 정신적으로 승화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경제적 여유도 있으면서 문화예술 취향을 가진 사람은 행복하다 할 것이다.
캘거리의 이유식 시인(81)이 그런 분이다. 48년 전 단돈 200달러를 들고 캐나다로 온 그는 한국인 특유의 근면과 성실을 바탕으로 부지런히 무역업과 부동산 투자에 손을 대 상당한 부를 모았다.
그는 단지 돈 버는 데만 몰두하지 않고 한인사회를 위해 열심히 봉사했다. 여러 단체장을 맡아 일했고 모국의 불우한 농어촌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보내주기도 했다. 이러한 공로로 한국정부로부터 많은 훈장과 상도 받았다.
분주한 일상에도 고상한 문학취향을 지닌 그는 오래 전부터 시를 써왔으며 많은 시집도 냈다. 특히 2008년에는 사재(私財)를 털어 자신의 아호를 딴 ‘민초(民草) 해외문학상’을 제정, 국내외 문인을 후원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상금은 처음엔 3천불로 시작했으나 지금은 5천불로 늘었다. 해외동포사회에서 개인이 제정한 문학상은 이 상이 처음일 것이다. 나는 제1회 시상식 때 캘거리로 취재를 갔는데 이 시인은 생각과 달리 무척 검소한 생활을 하고 있었다.
성공한 사업가이면서도 그의 시 저변에는 타국생활의 서글픔이라든가 인생의 허무함 같은 것이 짙게 배어 있다. 특히 ‘변방’ ‘나그네’ ‘무상’ 같은 단어들을 즐겨 쓰는데 그것은 오랜 이민 삶의 애환을 함축한 것이라 생각된다.
0…억척스레 돈을 번 사람은 대개 쓰는데 인색한데 이 시인은 돈을 제대로 쓸 줄 아는 것 같다. 춥고 배고픈 문인들을 후원하는데 개인 사재를 턴다는 게 결고 쉬운 일이 아니다.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다고 아무나 그런 일을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한때 골수 사회주의자였던 박노해 시인은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우리 사회에 가난한 사람은 없다. 부자가 되지 못한 사람만 있을 뿐이다.” 가난한 시인의 전형이었던 그는 왜 이런 말을 했을까. 자본주의사회에 살고 있는 한 무슨 일을 하든 열심히 노력해 먹고 살 궁리는 해야 한다는 뜻이리라.
‘부유한 시인’, 웬지 잘 맞지 않는 말 같지만 가장 이상적인 단어가 아닌가 한다. (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