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우 칼럼 <하얀 목련>

-잔인한 사월의 단상

(B29)하얀 목련.jpg

 ‘April is the cruelest month, breeding/ Lilacs out of the dead land, mixing/ Memory and desire, stirring/ Dull roots with spring rain/ Winter kept us warm, covering/ Earth in forgetful snow, feeding/ A little life with dried tubers…’ (4월은 가장 잔인한 달/ 죽은 땅에서 라일락을 키워내고/ 추억과 욕정을 뒤섞고/ 잠든 뿌리를 봄비로 깨운다/ 겨울은 오히려 따뜻했네/ 망각의 눈으로 대지를 덮고/ 마른 뿌리로 약간의 목숨을 남겨 주었네…)

 내가 대학 영문과 2학년 때 수강한 시가 바로 난해하기로 유명한 T.S. 엘리어트의 ‘The Waste Land’(황무지)였다. 위는 이 시의 서문에 해당하는 ‘The Burial of the Dead’(죽은 자의 매장)으로 4월이면 많은 사람들이 첫구절을 즐겨 인용한다.

 희망과 꿈으로 부풀어야 할 새 봄 4월이 왜 이렇게 잔인한 계절로 인식되게 됐을까. 그것은 각자  마음속으로 느낄 나름이겠지만, 혹독한 겨울추위 끝에 봄이 오면 무언가 좋은 일만 있을 것처럼 기대가 넘쳤지만 막상 현실은 꼭 그렇지만도 않기에 그런 것 아닐까.

 특히 한국에서 4월은 별로 좋은 기억이 없었다. 대표적인 4.19학생혁명(1960)을 비롯해 제주 4.3 비극(1948)을 거쳐 4.16 세월호 참사(2014)까지, 봄을 찬양만 하기엔 처연한 장면들이 더 많았다. 이래서 한국 청년들 사이에서 4월은 잔인한 달로 여겨졌다. 매년 이맘때 캠퍼스 언덕에 피어있던 하얀 목련들이 아련하게 다가온다.

0…시인 묵객(墨客)들이 가장 많이 소재로 삼은 계절은 봄, 월별로는 4월, 꽃으로는 목련이 아닐까 한다.

 “목련꽃 그늘 아래서/ 베르테르의 편질 읽노라/ 구름 꽃 피는 언덕에서 피리를 부노라/ 아 멀리 떠나와/ 이름 없는 항구에서 배를 타노라/ 돌아온 사월은/ 생명의 등불을 밝혀 든다/ 빛나는 꿈의 계절아/ 눈물어린 무지개 계절아…"

 박목월 시인의 이 노래는 지금 들어도 마냥 가슴이 설렌다. 4월이 오면 어김없이 생각난다.

 봄의 전령사 목련(木蓮)은 이른 봄 하얗게 피는 꽃이 마치 나무에 피는 연(蓮)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눈보라와 찬바람을 견디며 봄을 기다린 목련은 단아한 유백색의 꽃을 피운다. 하얗고 커다란 꽃잎은 화려함을 내세우지 않기에 고결한 기품이 더 돋보인다.

 목련은 여러 이름을 갖고 있다. 옥같이 깨끗한 나무라 해서 옥수(玉樹), 꼭 오므리고 있는 꽃망울의 모습이 붓을 닮았다 해서 목필(木筆), 봄소식을 가장 먼저 전한다 해서 영춘화(迎春花), 보라색의 자목련은 봄이 끝나갈 무렵에 핀다 하여 망춘화(亡春花)라 한다.

 특히 대부분의 꽃들이 태양을 바라보며 남쪽을 향해 피는 것과 달리 목련은 북쪽을 향하고 있어 북향화(北向花)라고도 한다. 꽃봉오리 아랫부분에 남쪽의 따뜻한 햇볕이 먼저 닿으면서 세포분열이 반대편보다 빠르고 튼튼하게 자란 탓에 꽃봉오리가 북쪽을 향하게 된다고 한다.

0…‘부활과 고귀함'이라는 꽃말을 가진 목련. 이를 소재로 한 시와 노래도 무척 많다. 희고 순결한 목련과 봄의 정감을 주제로 한 많은 노래 중에도 빼놓을 수 없는 노래가 있다. 이맘때 가장 많이 듣고 부르게 되는 양희은의 '하얀 목련'이다.

 "하얀 목련이 필 때면 다시 생각나는 사람/ 봄비 내린 거리마다 슬픈 그대 뒷모습/ 하얀 눈이 내리던 어느 날 우리 따스한 기억들/ 언제까지 내 사랑이어라 내 사랑이어라//…그대 떠난 봄처럼 다시 목련은 피어나고/ 아픈 가슴 빈자리엔 하얀 목련이 진다···"

 김희갑씨가 작곡하고 양희은이 직접 작사한 이 노래에는 양희은(68)의 자전적 이야기가 담겨 있다. 1982년 봄, 당시 서른살의 양희은은 3개월 시한부 난소암 판정을 받는다. 투병 중에 친구로부터 한 통의 편지를 받았다. “오늘 너와 같은 병으로 세상을 뜬 여자의 장례식장에 다녀왔다. 넌 잘 싸우고 있니? 봄비 맞아 목련이 툭툭 지고 있다…”

 편지를 읽은 양희은이 병실에서 창밖을 내다보는데 거기에 하얀목련이 눈부시게 피어나고 있었다. 양희은은 북받치는 감정으로 단숨에 노랫말을 써내려 갔다. “내 인생에 마지막이 될 노래”라 생각하고. 유서처럼 써내려간 가사는 작곡가 김희갑 씨에게 넘겨졌고 곧 이어 태어난 곡이 불후의 명곡 ‘하얀 목련’이다.

 양희은은 이에 앞서 데뷔곡 ‘아침이슬’이 방송금지곡으로 묶인데 이어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도 가사가 퇴폐적이라며 금지곡이 돼 마음고생이 무척 컸다. 노래를 어떻게 불러야 살 수 있을지 고민하던 그는 의기소침한 가운데 유럽 배낭여행을 떠났다가 14개월 뒤 귀국, 병원에서 난소암 판정을 받았다.

 양희은은 ‘하얀 목련’ 취입 후 35살 때 사업가와 결혼, 미국으로 떠났다. 그는 그곳에서 난소암이 기적처럼 나아 1994년 귀국했다. 송창식과 귀국콘서트를 연 그녀는 무대에서 ‘하얀목련’을 부르며 오열해 관객들을 울렸다.

0…목련과 함께 왔던 봄이 어느새 낙화(落花)되어 지고 있다.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이라 했듯, 봄은 오는 듯 마는 듯, 존재하는 듯 마는 듯하다 가버리기에 더욱 아쉽다.

 코로나로 일상의 소중함을 잃어버린 지 1년이 넘었다. 그날이 그날 같았던 소소한 날들마저도 몹시 그리운 요즘이다. 그대 떠난 봄처럼 다시 목련이 피어나는 평범한 일상이 소생하길 기대한다. (사장)

Susan Lee- 2.jpg
Previous
Previous

윤석열 대통령?

Next
Next

이용우 칼럼 <인종의 그늘>